간만에 한가한 일요일 오후. 캔버스를 주문하면서 함께 샀던 굵은 붓과 먹이 눈에 밟힌다. 밥 하기가 귀찮아 남은 피자를 데워먹고 나니 피자 박스가 글씨 연습하기 딱 좋아 보인다.
찬장을 뒤지니 안 쓰는 접시가 마침 있었다. 어차피 연습이라 넉넉히 쓸 작정으로 먹물 반 물 반을 섞었다. 좋아하는 글자들을 마구 쓰다 보니, 그대로 써도 하나쯤은 건지겠다 싶은 호기가 들었다.
이번에 도전할 것은 무늬 없는 부채. 이런 것이 있으면 좋겠다 하고 검색을 해 보니 접는 부채나 윗 사진의 방구부채나 이미 쉽게 구할 수 있는 상품이었다. 중국산인 만큼 가격도 무척 저렴해서 방구부채 네 개, 접부채 네 개를 주문해 두었었다. 색깔은 여름이라 하늘색을 골랐는데 다른 색도 많다.
처음 도전한 것은 그나마 좀 자신있는 글자였던 '花火'. '꽃 화' 자에 '불 화' 자로, 특히 일본어로는 '하나비'라고 읽고 '불꽃놀이'라는 뜻을 갖는다. 쓰고 나서 보니 글씨체는 크게 나쁘지 않은데 먹에 물을 탔던 것을 깜빡한 바람에 묽기 조절에 실패하였다. 덧칠을 하려다 주춤한 것은 오랜 트라우마 때문이다.
국민학교 1학년 때의 서예 선생님은 뚱뚱한 할머니였는데, 학생들이 떠들 때에도 그랬지만 한 번 쓴 글씨를 더 잘 고쳐보겠다고 덧칠하는 것을 발견하면 그 자리에서 갓 여덟 먹은 애들의 따귀를 올려붙이곤 했었다. 국민학교 1학년 때 학교에서 배운 것 중에서 한글과 아라비아 숫자 정도를 빼고는 내가 가장 선명하게 기억하고 있는 사실일 것이다. 서예할 때 덧칠하면 안 된다, 라는 사실. 여덟 살인데 이 정도면 어른 되어서 덧칠을 하다가 걸리면 어떻게 될지 모른다는 공포.
아무튼 덧칠을 했다. '불 화' 자는 일부러 눈과 콧수염처럼 해 봤는데 의도가 살아서 기뻤다.
다음은 '춤추다 무' 자. 일본의 어느 무용대학 로고에서 오른쪽 아래의 마지막 변을 길고 호리호리하게 뺀 것을 보고 멋지다고 생각했던 적이 있어 써봤다. 덧칠을 하다 보니 고양이 꼬리처럼 끝 부분이 두툼해졌는데 원래처럼 얇게 빼는 쪽이 더 멋있는 것 같다.
다음은 교토 여행 중 고다이지高台寺에서 보았던 '꿈 몽' 자. 본래도 무척 좋아해서 연필이 됐든 볼펜이 됐든 시간이 나면 여기저기에 낙서하며 이런저런 디자인을 시도해 보는 글자인데 일본에서는 특히 멋진 '꿈 몽' 자를 많이 보았다. 그 중에서도 손꼽게 좋았던 고다이지의 '꿈 몽' 자.
마지막은 몸이 편하지 않아서 마음만큼 공부를 할 수 없는 제자를 위해 썼다. 참고할 글자가 없어서 많은 기교 부리지 않고 그냥 굵게 썼다. '지키다 수'에 '나 오' 자이다. 이것은 다산 정약용의 <수오재기守吾齋記>에서 따 온 글자이다.
'수오재守吾齋'는 정약용의 큰 형인 정약현이 새로 집을 짓고 붙인 이름이다. 정약용이 이 이름에 대한 기억을 바탕으로 훗날 유배 시에 이 집에 붙이는 기記를 쓴 것이다. 여기서부터는 <수오재기守吾齋記>의 원문을 옮겨두려 하는데, 분량이 짧지 않으니 흥미가 가지 않는 분이라면 넘겨도 좋다. 그러나 시간이 있다면 찬찬히 읽어보길 권한다. 어디의 누가 읽더라도 잠깐쯤은 생각에 잠길 만한 글이다.
수오재(守吾齋)라는 것은 큰 형님이 그 집에 붙인 이름이다. 나는 처음에 의심하며 말하기를, “사물이 나와 굳게 맺어져 있어 서로 떨어질 수 없는 것으로는 나[吾]보다 절실한 것이 없으니, 비록 지키지 않은들 어디로 갈 것인가. 이상한 이름이다.” 하였다. 내가 장기(長鬐)로 귀양온 이후 홀로 지내면서 정밀하게 생각해 보았더니, 하루는 갑자기 이러한 의문점에 대해 해답을 얻을 수 있었다. 나는 벌떡 일어나 다음과 같이 스스로 말하였다. “대체로 천하의 만물이란 모두 지킬 것이 없고, 오직 나[吾]만은 지켜야 하는 것이다. 내 밭을 지고 도망갈 자가 있는가. 밭은 지킬 것이 없다. 내 집을 지고 달아날 자가 있는가. 집은 지킬 것이 없다. 나의 정원의 꽃나무ㆍ과실나무 등 여러 나무들을 뽑아갈 자가 있는가. 그 뿌리는 땅에 깊이 박혔다. 나의 책을 훔쳐 없애버릴 자가 있는가. 성현(聖賢)의 경전(經傳)이 세상에 퍼져 물과 불처럼 흔한데 누가 능히 없앨 수 있겠는가. 나의 옷과 식량을 도둑질하여 나를 군색하게 하겠는가. 천하의 실이 모두 내가 입을 옷이며, 천하의 곡식은 모두 내가 먹을 양식이다. 도둑이 비록 훔쳐간다 하더라도 한두 개에 불과할 것이니 천하의 모든 옷과 곡식을 없앨 수 있겠는가. 그런즉 천하의 만물은 모두 지킬 것이 없다. 유독 이른바 나[吾]라는 것은 그 성품이 달아나기를 잘하여 드나듦에 일정한 법칙이 없다. 아주 친밀하게 붙어 있어서 서로 배반하지 못할 것 같으나 잠시라도 살피지 않으면, 어느 곳이든 가지 않는 곳이 없다. 이익으로 유도하면 떠나가고, 위험과 재화가 겁을 주어도 떠나가며, 심금을 울리는 고운 음악 소리만 들어도 떠나가고, 새까만 눈썹에 흰 이빨을 한 미인의 요염한 모습만 보아도 떠나간다. 그런데, 한 번 가면 돌아올 줄을 몰라 붙잡아 만류할 수 없다. 그러므로 천하에서 가장 잃어버리기 쉬운 것이 나[吾] 같은 것이 없다. 어찌 실과 끈으로 매고 빗장과 자물쇠로 잠가서 굳게 지켜야 하지 않겠는가.”
“자네는 무엇 때문에 여기에 왔는가? 여우나 도깨비에게 홀려서 끌려온 것인가? 아니면 해신(海神)이 부른 것인가? 자네의 가정과 고향이 모두 초천(苕川)에 있는데, 어찌 그 본고장으로 돌아가지 않는가?” 했다. 끝끝내 나[吾]라는 것은 멍한 채로 움직이지 않으며 돌아갈 줄을 몰랐다. 그 얼굴빛을 보니 마치 얽매인 곳이 있어서 돌아가고자 하나 돌아가지 못하는 듯하였다. 마침내 붙잡아서 함께 이곳에 머물렀다. 이때 나의 둘째 형님 좌랑공(佐郞公)께서도 그의 나[吾]를 잃고 나를 쫓아 남해(南海) 지방으로 왔는데, 역시 나[吾]를 붙잡아서 함께 그곳에 머물렀다. 유독 나의 큰 형님만이 그의 나[吾]를 잃지 않고 편안히 단정하게 수오재(守吾齋)에 앉아 계시니, 어찌 본디부터 지키는 것이 있어 나[吾]를 잃지 않았기 때문이 아니겠는가. 이것이 큰형님께서 그의 거실에 이름붙인 까닭일 것이다. 큰 형님께서는 항상 말하시기를, “아버지께서 나에게 태현(太玄)이라고 자(字)를 지어 주셔서, 나는 오로지 나의 태현을 지키려고 하여, 이것으로써 나의 거실에 이름을 붙였다.” 고 하시지만, 이것은 핑계대는 말씀이다. 맹자가, “지킴은 무엇이 큰가? 몸을 지키는 것이 크다.” 고 하였으니, 그 말씀이 진실하다. 드디어 내 스스로 말한 것을 써서 큰 형님께 보이고 수오재(守吾齋)의 기(記)로 삼는다.
|
'화첩' 카테고리의 다른 글
150509, <나는 고양이로소이다> (0) | 2015.05.11 |
---|---|
150509, <RED DEAD REDEMPTION> (0) | 2015.05.09 |
150430, <몬스터 주식회사 4연작> (0) | 2015.05.02 |
150328, <유메지의 여자> (0) | 2015.04.28 |
150311, <유메지의 '인형사'> (1) | 2015.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