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일지

옴넥 오넥 지음/ 목현, 박찬호 공역, <나는 금성에서 왔다>






















본인이
금성에서 왔다고 하는 옴넥 오넥(Omnec Onec) 여사의 증언록. 출판사의 이름은 무려 '은하문명'이다.


얼마 전 유년기에 관한 일기를 쓰며 유료전화로 금성 여인의 육성을 듣던 기억에 관해 거론했었는데, 그 글을

읽은 지인 중 한 명이 육성을 기록한 남자의 이
름이 '조지 아담스키'였다는 사실을 문자로 보내 주었다. 외국 사

람의 이름인데
도 '그 사람은 참 이름 때문에 놀림을 많이 받았겠구나'라는 멍청한 생각을 했던 것까지는 기억이

났는데 정작 그 이름이 기억이 안 나 성질내던 차에 단비와 같
은 소식이었다. 요새는 그런 책들이 안 나오나 알

라딘을 좀 뒤져보니 웬걸, 올해
1월에 신간이 있었고 게다가 재학중인 학교의 도서관에도 들어와 있었다.


도서관에서 주로 찾는 곳은 100번 중간 대의 사회과학 책들, 700번 중간 대의 예술 책들, 950번 대의 역사책들

인데, 이
따금 찾는 곳이 0번 대에 있는 역학/고대문명/미스테리 섹션이다. (그 섹션이 왜 맨 처음인 0번 대에 가

있을까는 언젠
가 연대 도서관에 꼭 물어보고 싶은 질문이다.) 유태인 비밀정부나 피라미드 파워 등에 관한 내

지식에 지대한 영향을
미쳐온 곳인데, 이 책을 통해 오랜만에 발걸음을 향하게 됐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반도 안 읽고 내던졌기 때문에 뭐라고 평하기가 어렵다. 허경영 씨가 출연했던 방송을 한 번

도 화
내지 않고 끝까지 재미있게 본 사람이라면 아마 화장실 유머책 정도로 여기고 재미있게 볼 수 있을 것 같

다. 비꼬는 것
이 아니다. 나는 그간 내가 지나치게 진지해진 것은 아닌가, 하고 오히려 반성을 했다. 허황된 이

야기면 허황된 이야기
로 여기고 그냥 즐겁게 읽으면 될 것인데, 내던질 것까지야. 책은 옴넥 오넥 여사의 수기

와, 각종 화제에 대한 백과사
전식 기술로 이루어져 있다. 사실, 가혹하기로 이름난 금성의 환경에서 어떤 식으

로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었는지에
대한 설명이 과학적이지는 않더라도 신선하거나 창의적이기만 했어도 나는

그럭저럭 끝까지 읽을 용의가 있었는데,
초장부터 금성인은 이미 에테르 상태로 진화했기 때문에 지구인의 눈

에는 보이지 않는다는 말을 늘어놓는 통에 견디
기가 어려웠다. 아무튼 여사의 말에 따르면 금성 뿐 아니라 화성

과 목성, 토성에도 지적 생명체들이 있으며 그들은 지
구 역사에 끊임없이 관여해 오고 있다고 하니, 천문학도들

의 분발 바란다. 참고로, 황인종은 화성인의 후예라고 한다.
자신의 근본쯤은 알아두는 사람이 되자.


가장 흥미로웠던 것은 추천의 글이었다. 내가 어렸을 때 외계인이 있다고 말하는 것은 우리의 조경철 박사님,

없다고
말하는 것은 서울대 수학과의 모 교수로 정해져 있었는데, 그 교수는 굳이 꿈많은 아이들이 읽는 학생과

학에까지 나와
서 외계인 믿을 시간에 과학을 공부하라는 재미없는 말을 늘어놓곤 했다. 시방은 위험한 시국임

에도 불구하고 감히 말
하는 것인데, 나는 솔직히 김일성보다 그 교수가 10광년 쯤은 더 미웠다. 수학을 비롯한

이론 과학에 대한 내 증오감은
어쩌면 그 시절에 크게 빚지고 있을지 모른다. 그런데 허경영 씨도 한참은 더 배

워야 할 것 같은 <나는 금성에서 왔다>
라는 책에 추천사를 써 준 분이, 공학박사이자 KIST의 책임연구원이었

다. 추천의 글에서는 근간의 외계 문명에 대한
세계의 관심을 소개하고, 책의 내용을 개괄하는 등 이 책 자체에

대한 자신의 의견은 피력하지 않은 채 슥슥 잘 넘어가
긴 했지만 아무튼 그런 지위의 사람이 이 책에 추천사를

써 줬다는 것이 좀 충격적이었다. 어렸을 때의 생각대로라면,
나는 그 잘난 현대 과학도 수많은 미스테리 앞에

는 무릎 꿇을 수 밖에 없구나 하고 의기양양해졌을 테지만, 실제로는
KIST에 국정감사 한 번 들어가야 되는 거

아냐, 이거, 하고 생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