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서일지

이평래 외, <동북아 활쏘기 신화와 중화주의 신화론 비판>



































동북아역사재단에서 나온 '기획연구'의 43권. 아는 듯이 말했지
만 해당 총서 중에서 처음 읽는 책이다. 책 제목

이나
표지 디자
인 등에서 알 수 있듯 딱히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책은 아니고, 인문학 대학원생에게 익숙하디

익숙한 논문
모음집이다. 크게
성의를 들이지 않은 표지가 안타깝기는 하지만 그래도 예전의 '인문 교양서'들처

럼 단색 표지의 목
침 같은 책 - 어디서 연원
한 말이지는 모르지만 주변의 석박사들은 그런 책을 '떡제본'이라고

부른다. - 이 아닌 것이
어디냐 싶다.



본문의 내용과 필자 중 한 명인 이평래 교수의 서문을 참고보면, 이 책의 기획의도는 동북공정을 포함한 중

국의 자
기 위주
식 역사 재구에 대항하기 위함이며, 그 방법론으로서 동북 아시아 지역에 산재해 있는 '활쏘기

신화' 간의 유
사성을 분석하고
그 결과가 중국의 활쏘기 신화와는 분명한 차이가 있었던 것을 보여주는 과정을

싣고 있다.
다시 말해, 우리를 포함해 중국
에 대항할 수 있었던 무력과 상당한 크기의 점거지를 가지고 있었던

세력이 있었음을, 신화의 분석을 통해 보여주겠다는 것이다.



책에는 총 다섯 편의 논문이 실려 있는데, 서문에 다섯 편의 글이 논리적 순차에 따라 기획되었다고 밝히고 있

듯, 구성
이 탄탄
하여 읽기가 편했다. 첫번째 논문의 제목은 '한국 활쏘기 신화의 의미와 특징'. 다른 지역의 활

쏘기 신화와 비
교 분석하려면 일단
한국 활쏘기 신화의 내용과 의의가 밝혀져야 할 것이다. 두번째 논문의 제목

은 '중국 소수민족 활
쏘기 신화와 의례를 통해서
본 '샤먼영웅''이다. 고대의 신화는 씨족의 성립이나 국가의 건

립 과정에서 형성된 경우가
많으므로 그 주체인 영웅이 중심인물
이 되는 경우가 많다. 이 논문에서는 다른 지역

의 신화까지를 아울러 분석함으로
써 영웅의 정체와 능력, 행적 등을 밝힌다. 세
번째 논문인 '에르히 메르겐 신

화의 문화적 함의'에서는 몽골 활쏘기 신
화의 주인공인 에르히 메르겐을 구체적 사례로 들어 논
의를 심층화 시

킨다. 개인적으로는 신화에서 북방의 자연환경
이나 몽골민족의 활쏘기 방법 등과 같은 문화사적 사료까지 뽑아


내고 있는 이 논문이 가장 흥미로웠다. 네번째 논문인
'시베리아 신화와 의례에 나타난 활, 화살의 의미에 대한

연구'는 앞서의
연구에 공통적으로 해당되는 의의인 '활쏘기 신화'의 구체적 내용과 함의에 대해 다시 한 번 정

리하고, 마지막 논문인 '누가 왜 예
를 말하는가'에서는 중국의 역사에 의해 정체가 훼손되거나 왜곡된 '예(羿)'

라는 인물에 대해 고찰한다.



멍청한 말로 다시 정리를 해 보면 다음과 같다. 하나,  한국의 활쏘기 신화는 어떠어떤 내용이다. 둘, 그런데 중

국을 둘
러싼 소
수민족들의 활쏘기 신화를 분석해 보니, 우리까지 합해서 공통적으로 포함된 무엇이 있더라. 셋,

구체적으로
몽골에는 에르히
메르겐이라는 영웅도 있다. 넷, 그 활쏘기 신화의 의미란 이런이런 것인데, 그건

중국의 활쏘기 신화
와는 분명 차별을 갖는 것
이다. 다섯, 그 한 예로 '예(羿)'라는 인물은 분명 동이족인데, 중국

의 역사는 그를 화하족으
로 간주하고, 혹 동이족으로 인정할
경우에는 폄하하고 있다.


결국 중국에서 행하고 있는 역사의 자의적 재구가 학문적으로는 이렇게 반박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데에

가장 큰
목적을 두
고 있는 책이다. '누가 왜 예를 말하는가'라는 제목은 사실 '중국이 무슨 권리(까닭)으로 예를

자기 역사에 포
함시키려는가'인 셈이다.


근래에는 문학, 사학, 철학이 서로 나뉘어지게 된 것이 대학의 근대적 학제 때문이지 학문의 속성이 본디 분리

성을 갖
는 것은 아니라는
반성 하에 '국학'이라는 통칭이 등장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통합적 사고로 국학의 정

체를 고찰하다
보면 필연적으로 '동아시아학'이라는 화제에 다시 가 닿게
된다. 국학의 실질적인 내용인 문학,

사상, 역사 등이 지역
성이나 역사성에 아랑곳하지 않고 홀로 우뚝 서 있을 수가 없기 때문이다. 사실 조선문학

을 공부하고 있는 나도 그 기
록문자는 대개가 한자이며 내용 또한 중국의 고사, 명언, 인물 들이 빈번하게 사용

되고 있으므로 실질적으로 읽고 외
우는 것은 사서삼경을 비롯한 중국의 서적들이 대부분이다.

솔직히 스스로에게나 남에게나, 매력적이다. '저는 이제는 아무도 외지 않고 알려 하지 않는 옛 한시 몇 개 공부

합니
다'보다, '저는 한문학을 통해 국학과 동아시아학에 접근하고 있습니다'라는 말이. 시쳇말로 뽀대가 난다.


와중에, 근래 참가했던 어느 학회에서 다소 충격적인 말을 들었다. 한국도 일본도, 근래 '동아시아학'이라는 말

이 학계
에 유행처럼 퍼져 있지만, 정작 중국의 학계에서는 그런 용어를 모르거나, 알더라도 관심을 갖지 않고,

관심을 갖더라
도 왜 중국학이라고 하지 굳이 동아시아학이라고 부르는 것이죠? 라고 묻는다는 것이다. 딴지일

보의 편집장이 연재
하고 있는 '아시아'에 관한 글에서, 외국 가서 서류를 작성하다 보니 '동아시아'라는 말은 없

고, 'China and others'라는
난이 있어 체크했다는 글을 읽은 것도 얼마 전이다. 동아시아, 라는 말은 결국 others

들 만의 자위는 아닐까.



나는 사실 처음에 이 책을 집어들며 다소간의 거부감을 가지고 있었다. 활이라는 무기와 활쏘기 신화가 끌렸을

뿐이
지, 정치적인 이유로 시작된 동북공정에 굳이 대항하는 것도 또 하나의 정치의식 아닌가, 하는 혐의를 두고

있었기 때
문이다. 그런데 논리적인 내용과, 근래에 들었던 단상들을 합하여 다시 생각하니, 세상에 있어도 좋은

연구이거나 혹
은 반드시 있어야 할 연구라고 생각하게 됐다.


다시 한 번 말하지만 책의 정체 자체는 논문집이므로, 기왕에 관심이 없었던 사람에게 굳이 권하고 싶지는 않

다.



재미있었던 한 부분. '에르히 메르겐'에서 '에르히'는 엄지, '메르겐'은 우리나라의 '주몽'처럼 명사수의 호칭이

다. 이
에르히 메르겐은 본인이 했던 약속을 완수하지 못하게 되자 엄지를 자르고 다람쥐의 일종으로 변신하였

다고 하는데,
거듭해서 엄지가 나오는 이유는, 두번째 손가락과 세번째 손가락으로 활시위를 당기는 서양인과

달리 - 이를테면 로
빈 훗과 같이 - 몽골인들은 엄지와 검지 사이에 화살 끝을 끼우고 엄지로 시위를 당기기 때

문이라고 한다. 그만큼 중
요한 부위였기 때문에 영웅의 이름에까지 등장한 것이다. 이것이 그저 허황된 옛이야

기만은 아닌 것이, <몽골비사>
에 칭기즈 칸이 아들과 심한 의견 차이가 나자 화를 내며 활쏘기 시합을 해 자신

이 이기면 아들의 엄지를 잘라 버리겠
다고 엄포를 놓았다는 기록이 있다고 한다. 정복 왕조였던 칭기즈 칸의 때

까지 엄지는 중요하게 여겨졌던 모양이다.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손가락을 물어보면 어디라고 답할까?